애플에서 모바일 메신져앱인 Gliph의 비트코인 기능 삭제를 요청했다고 합니다. Gliph라는 앱이 생소해 한번 검색해봤습니다. 홍보문구를 봐서 메신져앱인 것 같더군요. 근데 문구 중에 Bitcoin Wallet View 라는 내용이 눈에 띄네요. 비트코인 지갑은 볼 수 있는 기능은 살려둔건지.. 뭘 없앤건지는 최근 업데이트 내역을 보고 알 수 있었습니다. Bitcoin sending 기능을 삭제했다고 합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고 합니다. 저도 한번 읽어봤는데, 뚜렷한 기준도 없으면서 일단 삭제요청하고 보는 애플의 태도에 대해 유감을 느끼고 있는 듯 합니다. 정황상 그동안 비트코인관련 기능은 있었고 송금 기능이 추가되자, 제재를 한듯 한데 그동안 용인해주던 애플의 변심에 ..
오늘은 일단 생각했던 비트코인 내용중에서는 마지막으로 비트코인 전용 채굴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비트코인 채굴하기 포스팅(http://sevensign.tistory.com/1042) 에서는 CPU와 GPU만으로 채굴하는 것을 살펴봤는데, 비트코인 채굴만을 위한 하드웨어도 많이 있습니다. 저도 그중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그러나 돈은 안되는...) USB 채굴기를 한번 구입해봤습니다. 먼저, 채굴기를 보자면 본격적으로 채굴을 하는 사람들은 보다 전문화된 하드웨어를 이용하거나, 메인보드에 그래픽카드를 여러대물려 돌리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런건 애교에 가까운수준이고요 ㅋ 무지막지한 설비를 가지고 채굴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정도면 얼마나 채굴될지 궁금하네요.. ㅡㅡ http://kotaku.c..
비트코인 세번째 이야기입니다. 비트코인을 획득하는 것을 채굴이라고 표현을 합니다. 암호를 풀고 얻어내는 것을 금광에서 금을 캐내는 것에 비유해서 그렇게 부르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지난번에도 말씀드렸다시피 비트코인이 채굴될수록 난이도가 높아져 요즘은 개인이 혼자 채굴하는 것은 거의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마이닝풀에 가입해 같이 채굴하고 기여도에 따라 배분 받는 형태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도 한번 채굴을 직접해봤습니다. 제가 채굴을 하기 위해 이용한 웹사이트는 BitMinter(https://bitminter.com/)라는 사이트 입니다. 활발한 채굴 커뮤니티인 것 같습니다. 일단 가입을 하고 이용이 가능합니다. JOIN 메뉴를 클릭하면 가입이 가능한데, 구글이나 야후 계정등을 이용해 바로 이용..
비트코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비트코인 지갑이 있어야 합니다. 비트코인 지갑은 Blockchain (https://blockchain.info)이라는 사이트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 구글번역기로 돌린 듯한 한국어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왼쪽 상단의 '새 지갑을 시작'이라는 버튼을 클릭하면 지갑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메일과 비밀번호만으로 이메일 인증을 통해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ID개념으로 생성되는 식별자가 상당히 복잡해서 잘관리해야 합니다. '내 지갑' 화면에서는 내 지갑으로 이용하는 비트코인 거래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제 지갑에 있는 0.00012641 비트코인(BTC)과 US달러로 환산된 금액을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박스로 표시해둔 긴문자가 비트코인 계좌입니다. 저 계좌번호로 입..
최근 비트코인(Bitcoin)에 대한 얘기가 많습니다. 이름만 딱봐도 가상의 디지털 화폐라는 느낌은 오는데 뭔데 요즘 이렇게 떠들석할까요? 저도 최근에 알게 되서 이것저것 찾아보고 한 정도입니다. 그래서 자세히 알진 못하지만 이것저것 찾아본 내용들로 지갑도 만들고 광고를 보고 비트코인을 받아보기도 했습니다. ■ 비트코인(Bitcoin)이란? 비트코인이란 사토시 나카모토란 가명의 인물이 2009년 만들어낸 가상의 디지털화폐라고 합니다. 중앙은행없이 누구나 수학적 암호를 풀면 코인이 생성되며, 총 2,100만개까지만 생성된다고 합니다. 1 비트코인은 쪼개어 사용할 수 있는데 0.001(밀리코인), 0.000001(마이크로코인),0.00000001(사토시) 등의 보조단위로 사용되기도합니다. 코인이 생성될수록 ..